검색 본문

건강정보

면역결핍증 Immunodeficiency disease
면역결핍증

면역결핍증은 면역 계통 구성 요소의 기능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합니다. 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 요소의 일부 또는 몇 개가 결손되거나 기능부전으로 정상 면역 기구에 장애가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면역결핍증은 1차 면역결핍증(primary immune deficiency)과 2차 면역결핍증(secondary immune deficiency)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차 면역결핍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하며, 결함이 있는 면역계에 따라 4개의 군, 즉 B 세포계, T 세포계, 보체계, 식세포계의 이상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차 면역결핍증은 면역 기능이 정상인 사람에게 어떤 질병으로 인하여 면역 기능에 결함이 생긴 경우로, HIV 감염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선천성 면역 결핍 질환의 발생 빈도는 1만 명 중에 1명꼴이며, 이 중 B 세포계 결함은 55%, T 세포계 결함은 25%, 식세포계 결함은 18%, 보체계의 결함은 2%를 차지합니다.

질병백과
원인
B 세포계, T 세포계, 식세포계, 보체계 결함
증상
잦은 감염
진단
혈청 면역 글로불린 정량적 검사, 말초 백혈구 수 및 형태 검사, 혈청 C3, C4 농도 측정, NBT test
치료
항생제 치료, 골수 이식, 유전자 치료
제공 서울아산병원i 정보 제공 안내 본 정보는 의사의 진료와 상담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서울아산병원

관련 질환

면역 결핍증 [免疫缺乏症]
국어 우리말샘
면역 상태가 저하된 증상. 미생물 감염이 자주 일어나는 면역 결핍은 유전적인 소인이나 후천적인 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유발된다. 더보기
정보제공
우리말샘이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개방형 한국어 사전인 우리말샘에 등록된 단어입니다.

통합웹

상세검색옵션
출처

사이트

뉴스

뉴스

정확도순 최신순
뉴스검색 설정을 이용해 보세요.
뉴스제휴 언론사 검색결과i뉴스검색 설정 안내뉴스제휴 언론사와 전체 검색결과 선택이 가능합니다.자세히 보기

'면역결핍증' 다른결과 더보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