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태극기

유래
1882년 수신사 박영효가 고종황제의 칙명으로 일본행 메이지루호 선상에서 제작  더보기
의미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더보기
관련정보
국기의 관리, 국민의례, 태극기 그리는 법
태극기 다는 법 자세히보기
국경일·기념일, 조의를 표하는 날 태극기 다는 법
국경일·기념일
다는 날
5대 국경일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및 정부지정일
다는 법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닮.
조의를 표하는 날
다는 날
현충일, 국장기간, 국민장 및 정부지정일
다는 법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 닮.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는
조기임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최대한 내려 닮.
자세한 정보는 행정안전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통합웹

상세검색옵션
출처

같이가치

  • Re:boosters Project

    베란다에 국기를 게양하던 기억이 아련한데, 요즘 사람들은 통 태극기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젊은 사람뿐만 아니라 장사하는 어른들도 태극기를 보면 바짝 긴장하기 바쁩니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태극기를 사람들이 광화문에 앞에 모이면, 또다시 코로나가

    자큰북스 (ZAKN BOOKS) 달성률 모금완료 총 모금액 3,000,600
  • 2023 평화의 장미 정원

    먼저 국기를 게양할 수 있었다는 일화는 ‘장호원(감곡) 성당의 태극기’라는 제목으로 당시 언론(경향 잡지)에 남겨져 여러 사람에게 기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땅에 평화가 도래하기까지 간절한 염원을 담게 되었습니다. 6 · 25 한국 전쟁

    한국장미회 달성률 모금완료 총 모금액 1,882,599

뉴스

뉴스

정확도순 최신순
뉴스검색 설정을 이용해 보세요.
뉴스제휴 언론사 검색결과i뉴스검색 설정 안내뉴스제휴 언론사와 전체 검색결과 선택이 가능합니다.자세히 보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