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건강정보

기쿠치병 Kikuchi Disease
기쿠치병

기쿠치병은 림프절이 0.5~4cm 정도로 커지면서 염증과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1972년 일본 의사 기쿠치에 의해 최초로 보고된 병입니다.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으로도 불립니다. 주로 30세 이하의 젊은 동양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많이 발생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약 4배 정도 많이 발병합니다. 기쿠치병에 걸리면 흔히 목 부근의 림프절이 커집니다. 발열, 피로감, 발진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기쿠치병은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질병의 양상이 다양해 악성 림프종, 결핵,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프스)으로 오진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기쿠치병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림프종, 자가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됩니다. 기쿠치병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 동반된 목 부위의 림프절 비대입니다.

질병백과
원인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 감염, 림프종, 자가면역 반응 관련 추측
증상
림프절 비대, 통증, 발진, 관절통, 피로, 식욕 감소, 체중 감소, 오심, 구토, 설사, 간효소 수치 증가
진단
조직 검사, 초음파, CT, 혈액 검사
치료
대부분 저절로 호전, 약물 치료
제공 서울아산병원i 정보 제공 안내 본 정보는 의사의 진료와 상담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서울아산병원

관련 질환

통합웹

상세검색옵션
출처

뉴스

뉴스

정확도순 최신순
뉴스검색 설정을 이용해 보세요.
뉴스제휴 언론사 검색결과i뉴스검색 설정 안내뉴스제휴 언론사와 전체 검색결과 선택이 가능합니다.자세히 보기
국어 우리말샘
림프절의 비대가 특징인 원인 불명의 괴사 림프샘염. 발열이 동반되지만 저절로 없어지며, 일본의 젊은 여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서도 발생한다. 더보기
정보제공
우리말샘이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개방형 한국어 사전인 우리말샘에 등록된 단어입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