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TV
지식채널e
EBS1 교양 월, 화, 수, 목 밤 12:15 2005.9.5~
2916회 2024.5.2(목)

인구절벽에서 살아남기 외 1. 인구절벽에서 살아남기 : - 계속해서 같은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이었다. 올해 합계출산율 전망은 0.68명으로 시간이 갈수록 저출생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출생은 인구를 구성하는 구조가 바뀌는 인구절벽의 상황을 초래한다. 전체 인구에서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하게 줄어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저출생을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일본의 이토추상사 이야기로 그 해결책을 유추할 수 있다. 이토추상사는 야근을 금지하고 아침형 근무제를 도입하며 직원의 업무 향상을 위해 힘썼다. 이는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는 데까지 뻗어나갔다. 2005년 여성 사원 여성 사원 합계출산율 0.6명에서 2021년에는 1.97명으로 대폭 상승했다. 특히 13년 동안 꾸준히 제도를 시행한 덕분에 회사의 정책은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렇듯 꾸준한 제도 시행은 중요하다. 김... 1. 인구절벽에서 살아남기 : - 계속해서 같은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이었다. 올해 합계출산율 전망은 0.68명으로 시간이 갈수록 저출생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출생은 인구를 구성하는 구조가 바뀌는 인구절벽의 상황을 초래한다. 전체 인구에서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하게 줄어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저출생을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일본의 이토추상사 이야기로 그 해결책을 유추할 수 있다. 이토추상사는 야근을 금지하고 아침형 근무제를 도입하며 직원의 업무 향상을 위해 힘썼다. 이는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는 데까지 뻗어나갔다. 2005년 여성 사원 여성 사원 합계출산율 0.6명에서 2021년에는 1.97명으로 대폭 상승했다. 특히 13년 동안 꾸준히 제도를 시행한 덕분에 회사의 정책은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렇듯 꾸준한 제도 시행은 중요하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저출생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으로 관련 정책이 분절되지 않도록 헌법 규범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인구절벽의 동아줄이 될 지속적인 정책 시행 이야기를 '지식채널e' "인구절벽에서 살아남기"로 살펴본다. 2.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왜 그랬을까? : - ADHD, 인류의 생존 전략이었다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 위대한 발명가 ‘에디슨’, 입체주의 창시자 ‘피카소’. 세 위인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인 ADHD를 앓았다는 점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어린이의 약 5~8%, 성인은 약 3%에 해당하는 인구가 ADHD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유전적 요인이 큰 선천성 질병임에도 발병 비율은 줄어들지 않고, 왜 늘었을까? 최근 미국의 한 연구진은 발병 비율이 늘어나는 점에 주목하고, ADHD의 기원을 추적했다. 그 결과 ADHD 증상이 우리 조상들의 ‘적응 생존 전략’을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었음을 발견했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오늘날 ADHD가 만연한 이유도 설명한다는데… ADHD가 인류 진화에 중요한 생존 전략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알아본다. 더보기

출처 : 공식홈
이전회 다음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