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TV
바닷가 사람들 방송종료
EBS1 다큐멘터리 34부작, 2020.12.28~2021.12.8
29회 2021.11.3(수)

갯벌이 품은 황금! 신안 낙지잡이 - 낙지 편 천여 개의 크고 작은 섬과 광활한 갯벌로 유명한 신안. 그중 압해도(壓海島)는 낙지 다리가 세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바다와 갯벌을 누르고 있는 모습이라고 해서 ‘낙지 다리가 바다를 누르는 섬.’의 뜻을 가진 이름이 붙여진 유래 깊은 낙지 생산지다. 그래서 지역 주민들에게는 오래전부터 황금으로 불리며 소득을 책임져주는 고마운 존재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30년 넘게 전통방식인 가래로 낙지를 잡는 한 남자. 바로 압해도에서 사는 김상묵 씨다. 새벽부터 나가 바닷물이 빠지기를 기다렸다 갯벌이 드러나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낙지잡이. 걸어 다니기도 힘든 갯벌에서 낙지들의 숨구멍인 부럿을 찾아내 낙지가 도망가기 전에 낙지잡이 전용 삽, 가래로 펄을 파서 잡는 방법이라고 하는데. 상당한 기술과 체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라 신안 압해도의 가래잡이를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수십 년의 경력을 자랑한다고. 한편 같은 신안 지역 선도에 사는 젊은 낙지잡이 ... 천여 개의 크고 작은 섬과 광활한 갯벌로 유명한 신안. 그중 압해도(壓海島)는 낙지 다리가 세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바다와 갯벌을 누르고 있는 모습이라고 해서 ‘낙지 다리가 바다를 누르는 섬.’의 뜻을 가진 이름이 붙여진 유래 깊은 낙지 생산지다. 그래서 지역 주민들에게는 오래전부터 황금으로 불리며 소득을 책임져주는 고마운 존재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30년 넘게 전통방식인 가래로 낙지를 잡는 한 남자. 바로 압해도에서 사는 김상묵 씨다. 새벽부터 나가 바닷물이 빠지기를 기다렸다 갯벌이 드러나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낙지잡이. 걸어 다니기도 힘든 갯벌에서 낙지들의 숨구멍인 부럿을 찾아내 낙지가 도망가기 전에 낙지잡이 전용 삽, 가래로 펄을 파서 잡는 방법이라고 하는데. 상당한 기술과 체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라 신안 압해도의 가래잡이를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수십 년의 경력을 자랑한다고. 한편 같은 신안 지역 선도에 사는 젊은 낙지잡이 어부, 김영민 씨는 서비스직 일을 하다 29살에 귀어를 했다고 한다. 주낙잡이는 야행성인 낙지가 활동할 때를 맞춰 밤바다에 홀로 나가 미끼를 단 주낙을 넣고 빼는 방식이다. 특별한 기술 없이도 단시간에 낙지들을 잡아낼 수 있어서 낙지잡이를 하는 젊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어업 방식! 신안의 낙지가 이렇게 많이 나고 유명하다 보니. 낙지 음식 특화 거리도 생겨 낙지 탕탕이, 연포탕, 낙지 호롱 구이 등의 다양한 낙지 음식을 맛볼 수 있다는데. 닉지의 본고장에서 맛볼 수 있는 별미 음식부터 생생한 낙지잡이의 현장까지! 방송되는 바닷가 사람들에서 공개한다 더보기

출처 : 공식홈
이전회 다음회

통합웹

상세검색옵션
출처

뉴스

뉴스

정확도순 최신순
뉴스검색 설정을 이용해 보세요.
뉴스제휴 언론사 검색결과i뉴스검색 설정 안내뉴스제휴 언론사와 전체 검색결과 선택이 가능합니다.자세히 보기
맨위로